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 IntelliJ
- spring batch 코드
- REST API
- batch
- spring bean
- spring pid
- JUnit
- SuperTypeToken
- Data REST
- Spring Data JPA
- JPA mapping
- spring boot tomcat
- spring boot
- static inner class
- spring jpa
- spring-mvc
- ApplicationPidFileWriter
- spring-webmvc
- 톰캣
- Spring Data REST
- Spring Batch
- spring camp
- 세미나
- docker
- ORM
- JPA
- Spring
- tomcat
- spring-webmvc #코드읽기
- 코드 리뷰
- Today
- 3
- Total
- 916,325
목록REST API (2)
woniper
REST API에서 자원(Resource)은 client에게 표현할 수 있는 수단이다. 이 자원을 표현할 수 있는 설계가 잘못된다면 REST API에 이점도 사라진다. 그만큼 설계도 어렵다는 뜻이다. 자원을 이야기하며 빼놓을 수 없는 게 바로 Metadata라고 생각한다. wiki에서는 Metadata를 이렇게 말한다. 데이터의 데이터. 어떤 목적을 가지고 만들어진 데이터. 데이터의 데이터라는 뜻은 무엇일까? 사진을 예로 들어보자. 스마트폰을 이용해서 사진을 찍으면 그 사진에 대한 파일이 생성된다. 그 파일의 크기(용량), 생성날짜와 시간(사진을 찍은 날짜와 시간), pixel, 등 여러 가지 그 사진 파일을 표현할 수 있는 데이터가 있을 것이다. 바로 이것이 사진의 Metadata라고 할 수 있다. 그..
이번에 크레마 ebook 리더기를 샀다. 예~~전에 사놨던 이 책을 리더기로 읽기 시작했고 분량이 얼마되지 않지만, Rest API를 설계하고 개발할때 항상 고민하고 명확하지 않은 부분은 표준 처럼 참고 할 수 있는 책이다. 스타트업 다니면서 처음으로 Restful API 개발을 Spring으로 하게 되었는데, 기존 API 개발과 비슷하지만 일관성있는 규칙과 정책을 부여하고 그 정책에 맞춰 개발하고 client와 통신하기 위해서 Restful API가 적절하다고 생각한다. 예를 들면 Http method를 통해 행동을 지시하고 그에 대한 도메인 url은 일관된 동사형태에 url로 설계를한다. 이와 같은 명확하고 일관된 규칙이 존재한다. 이 외에도 url 설계에 대한 규칙도 제안하고 에러를 어떻게 표현할지..